美 머크 “먹는 치료제, 저소득국 복제약 허용”…“반쪽 제공”·“백신은?”_코너에서 플레이하면 승리할 수 있다_krvip

美 머크 “먹는 치료제, 저소득국 복제약 허용”…“반쪽 제공”·“백신은?”_자유 시장 전문 포커 키트_krvip

[앵커]

이런 가운데, 먹는 코로나19 치료제를 개발한 미국 제약사가 저소득국가들이 복제약을 만들 수 있도록 특허를 개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반기는 목소리가 많지만,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습니다.

워싱턴 이정민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미국 제약사 머크가 개발한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몰누피라비르입니다.

미국, 유럽의 승인 전인데도 한국을 비롯해 다급한 많은 나라들이 이미 선구매 협상 중입니다.

[롭 데이비스/머크 CEO/2일 : "몰누피라비르는 코로나19로 인한 입원이나 사망 위험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습니다."]

170만 개를 구매한 미국이 하루 2번씩 5일간 복용하는 한 세트에 지불하기로 한 돈은 7백 달러.

원가의 40배 가깝습니다.

코로나19를 이용한 또 하나의 폭리라는 비판을 받던 머크사, 저소득국가엔 특허를 개방하겠다는 깜짝 발표를 내놨습니다.

유엔이 지원하는 의료단체를 통해 105개 저소득, 중위소득 국가 제약사들에 복제약 제조를 허용하는 방안입니다.

아프리카 전역, 파키스탄, 캄보디아 등이 포함됐습니다.

세계보건기구, WHO가 코로나19를 국제 긴급 상황으로 지정하는 동안엔 로열티를 받지 않겠다고도 했습니다.

코로나19 관련 첫 자발적 특허 개방에 국제사회는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WHO는 성명을 통해 광범위한 치료제 배포를 위한 긍정적 단계라고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높습니다.

105개국 중 복제약 제조 여건조차 갖추지 못한 최빈국들이 많이 포함된 대신 브라질, 중국같이 생산과 공급 능력을 갖춘 주요 중상위 국가들은 제외됐다, 남미 등 인구 많고 환자도 많은 빈곤국들도 왜인지 대상에서 빠졌다며, 찔끔 개방이 아닌 전면적 특허 개방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잇따랐습니다.

그나마 특허권 개방 첫발을 디딘 머크와 달리 여전히 특허권을 틀어쥐고 빈곤국에 오히려 더 높은 값을 부르는 백신 회사들에 대해선 국제사회도 전문가들도 비판의 목소리를 더욱 높이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정민입니다.

촬영기자:오범석/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김석훈 채상우 최민영/자료조사:권도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