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 채널로 남성 인맥·여성 광고 의존도 높아 _블랙 헤드폰 카드 운팅_krvip

구직 채널로 남성 인맥·여성 광고 의존도 높아 _더블 포키_krvip

일자리를 구할 때 남성은 인맥, 여성은 구인광고에 의존하는 경향이 짙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 한국고용정보원이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토대로 1천682명(남 970명.여 712명)의 취업성과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남성의 56.4%가 구직활동 때 친구, 친척, 직장동료 등 개인ㆍ사회적 인맥을 가장 많이 활용했다. 공공ㆍ민간고용서비스, 신문 구인광고 등 `공식적 방법'을 활용한 남성은 37.4%, 업체에 직접 지원한 남성은 6.2% 등이었다. 이에 반해 여성의 49.2%는 공식적 방법을 이용했고 개인ㆍ사회적 네트워크의 활용은 45.3%, 직접 지원은 5.5%로 나타났다. 공식적 방법을 이용하는 비중이 가장 높은 층은 30대 여성(56.5%)이었고, 개인ㆍ사회적 인맥으로 구직하는 비율은 40대 남성(63.7%)에게서 제일 두드러졌다. 고용정보원은 많은 여성이 육아와 가사에 대한 책임이 커 남성보다 노동시장에 잘 참여하지 않고 노동시장에 들어가도 다른 직업세계에서 머문다는 점 때문에 구직활동 방식에 차이가 난다고 설명했다.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이 50% 정도이고 여성 취업자의 70%가 비정규직으로 회계ㆍ경리, 안내ㆍ접수, 고객응대, 통계조사, 비서ㆍ사무보조, 유치원교사, 단순 생산직 등에 취업해 전문ㆍ관리직 네트워크에서 소외된다는 것이다. 고용정보원은 "일자리 정보를 지인을 통해 얻게 되면 고용주의 특성, 구체적 업무, 회사 분위기 등을 파악할 수 있다"며 "이는 구직자가 해당 일자리와 자신의 적합성을 판단할 근거가 돼 취업확률 또는 취업 후 고용안정성을 높이는 수단이 된다"고 말했다. 이어 "여성의 효율적인 구직활동을 지원하려면 공공 고용서비스가 여성 구직자들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보완해주는 역할까지 맡아야 한다"며 "서비스기관이 실업자, 고용주, 노조와 정기적 모임을 열어 네트워크를 유지하는 프로그램의 도입을 검토할 만하다"고 말했다.